오픈스택 연구하기 : Devstack으로 오픈스택 빠르게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Devstack을 이용해서 오픈스택을 빠르게 구축해보겠습니다. Devstack은 오픈스택을 설치하기 위한 자동화 툴입니다. 오픈스택을 구축하는 방법으로는 매뉴얼대로 설치하는 방법과 자동화 툴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실 매뉴얼에 대한 설치 방법은 많이 지원하지 않는 프로젝트들도 많이 있고, 무엇보다도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직접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한다던지, 사용자를 생성한다던지의 여러 과정이 각 프로젝트마다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제는 자동화 툴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다양한 자동화 툴을 사용해본 것은 아니지만, 분명 자동화는 인프라 기술에서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
오픈스택 연구하기 : Octavia를 활용한 로드밸런싱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 연구하기의 주제 중 하나로 Octavia를 이용한 로드밸런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로드밸런싱이란, 여러 대의 서버를 두고 앞 단에 로드밸런서(Loadbalancer)를 배치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오면 이를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을 하는 여러 대의 웹서버가 있으면, 가장 앞단에서 로드밸런서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은 후 이를 각각의 웹서버에게 골고루 분산시켜 주면서 각 웹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로드밸런싱을 통해 여러 대의 서버를 연결한 뒤 한 서버가 다운되더라도 다른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습니..
오픈스택 연구하기 : Disaster Recovery Project Freezer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에서 Disaster Recovery Project인 Freezer에 대해 간단하게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먼저 Disaster Recovery란 무엇일까요? 장애가 발생했을 때 이를 복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해 Freezer는 가상 머신을 주기적으로 스냅샷을 찍어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보관하다가 장애 시 Restore 기능을 이용해 정상적인 상태의 가상 머신으로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Freezer를 이용하여 고가용성 연구[2]를 진행한 포스팅을 업로드 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은 참고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해당 포스팅은 openstack Freezer 공식 문서 및 개..
오픈스택 이해하기 : Test Project Rally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Openstack Testing Project인 Rally에 대해 대략적으로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Rally는 주로 Openstack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의 연구 주제로도 많이 사용하기도 하였고 Rally가 제공하는 기능인 Openstack의 최대 성능치 분석 기능을 이용해 클라우드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기도 하였습니다. 아마 테스팅 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계시면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시고 이런 것이 있구나라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이미지 출처 : [1] 그럼 지금부터 Openstack Testing Project인 Rally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
오픈스택 연구하기 : 코어프로젝트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오픈스택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프로젝트이기도 하고 그만큼 오래되었기 때문에 손쉽게 자료도 구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포스팅을 진행하는 이유는 제 블로그의 다른 내용을 보다가 오픈스택에 대해 궁금해하실 분들이 계실까 봐 번거로이 다른 블로그에서 찾기보다는 간편하게 오픈스택에 대해 대략적으로 파악하실 수 있게 오픈스택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이미지 출처 : [1] 2010년 6월 NASA와 RackSpace가 함께 개발한 Cloud OS인 Openstack을 오픈소스로 발표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왜 Openstack을 Cloud OS라고 할까요?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사용자 ..
오픈스택 연구하기 : RCA Project Vitrag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에서 RCA 프로젝트인 Vitrage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개발한 내용들을 보면 아시겠지만, 고가용성 연구를 위해 Vitrage를 이용하여 많은 개발을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먼저 Vitrage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RCA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RCA는 Root Cause Analysis의 약자로 장애 원인을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특정 장애가 발생했을 때 해당 장애가 왜 발생했는지에 대해서 이유를 밝혀 내는 것입니다. RCA에 대해서는 관련 논문이 몇개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오픈소스 기반의 RCA 프로젝트는 오픈스택의 Vitrage와 ONAP의 Holmes가..
오픈스택 연구하기(2) : NFV Project Tacker안녕하세요. 본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 NFV project인 Tacker에 대해 알아도록 하겠습니다. Takcer는 제가 NFV 환경에 대해 연구 할때 가장 많이 사용했던 프로젝트입니다. 연구 결과 도출도 빠르고 비교적 필요한 기능도 어느정도 구현 되어있어서 빠르게 설계를 검증하기도 편리했던 것 같습니다. 오픈스택 NFV 프로젝트인 Tacker는 2015년에 5월 오픈스택 밴쿠버 서밋에서 발표되었습니다. Tacker는 오픈스택 정식 프로젝트로 VNFM, NFVO 그리고 VNFD와 같이 ETSI 표준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로 해를 거듭해가면서 여러 내용들을 꾸준하게 업데이트 해갔습니다. 초반에는 모니터링과 같은 기능을 시작해서 SFC,Multi-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