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인벤토리 문법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Ansible 연구하기(개념 및 설치)에 작성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Ansible 공식 Documentation을 기준으로 간략하게 정리한 인벤토리 문법에 대해 한번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벤토리 문법은 체계적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중복되는 서버 리스트가 있을 수도 있고 각 서버 혹은 그룹 별로 다르게 적용해야할 변수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숙련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분류하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할 것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간략하게 어떻게 그룹으로 작성하고, 변수를 선언하는지 등 아주 간단하게만 작성될 예정이므로 메모장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Ansi..
Ansible Concept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버 배포 및 구성 자동화 툴인 Ansible에 대해 연구하고 설치 및 테스트까지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Ansible에 대해 아시는 분들이 훨씬 많으실테지만, 기본적으로 제가 연구하고 공부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기존 리눅스 환경에서 다수의 서버들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Bash 쉘 스크립트를 사용합니다. 물론 지금도 스크립트는 많이 쓰여지고 있으며, Flask와 같은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스스로 원하는 자동화 툴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들을 통해 패키지 설치, 의존성, 설정 구성 등을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각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점차 관리해야 할 서버 수가 증가하고 클라우드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