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Tracing 개요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구조에서 서비스 간의 호출에 따른 요청과 실행 되는 메소드들을 추적하여 확인하고 지연, 장애를 식별할 수 있는 트레이싱 툴의 비공식 표준인 CNCF의 OpenTracing에 대해 공식 문서[1]를 기준으로 한 번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이 도입되고 컨테이너로의 발전과 함께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개발 프로세스는 DevOps로 가상머신은 컨테이너로,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는 기존 모놀리식 구조에서 마이크로서비스 구조로 진화하였습니다. 컨테이너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들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개별적인 분산 서비스들로 구성되고 서로 클라우드 상에서 네트워크 혹..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 Zabbix(2) : 설치편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Zabbix 1편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 Zabbix(1) : 이론 편[1]에 이어서 설치 편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Zabbix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해당 링크를 눌러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Zabbix는 도커 컨테이너로도 설치 간편하게 가능하며, 천천히 따라 하시기만 하면 아주 쉽게 매뉴얼대로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Zabbix 서버를 설치하고 구축한 뒤, Zabbix 웹 UI를 살펴보고 Zabbix 에이전트를 모니터링 대상에 설치하고 정상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의 설치 과정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 ..
ONAP DCAE(Data Collection Analytics and Events) 연구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ONAP 프로젝트에서 모니터링, 이벤트, 분석 등의 HA 기능들을 제공하는 ONAP DCAE(Data Collection Analytics and Events)에 대해 포스팅하고자합니다. 본 포스팅 내용은 예전에 DCAE에 대해 관련 연구를 진행하면서 정리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DCAE에 대해 소개를 한 뒤 아키텍쳐를 중심으로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참고로 포스팅의 내용은 DCAE 공식 문서[1]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CAE는 하나의 단일 어플리케이션이 아닙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수집 프로젝트, 분석 프로젝 트, 이벤트 ..
오픈소스 컨테이너 모니터링 툴 Prometheus(2) : 설치편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모니터링 툴 Prometheus(1) : 이론 편[1]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론 편에 이어 설치 편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실 Prometheus는 다른 모니터링 프로젝트에 비해 구성이 간편하고 쉽습니다. 따라서 이번은 Prometheus를 설치하고, exporter를 구성한 뒤 Grafana와의 연동까지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rafana는 Prometheus와의 연동을 통해 컨테이너 모니터링의 시각적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Prometheus의 공식 사이트의 설치 방법을 참조합니다. [2] Prometheus 설치Prometheus 설치 과정은..
오픈소스 RCA 프로젝트 : ONAP Holmes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CA 프로젝트인 ONAP Holmes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ONAP은 아주 거대한 플랫폼으로 다수의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중 RCA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데, Holmes가 ONAP에서 RCA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간단하게 Holmes에 대해 구조를 파악하고 간단한 프로젝트 컨셉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 해당 포스팅에 나오는 모든 그림과 내용은 [1]을 참조하였습니다. Architecture & Concept Holmes 프로젝트는 NFV 환경에서 인프라 및 서비스에 대한 장애 알림, 장애 원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원인을 찾아냅니다. ONAP에서 DCAE 프로젝트에 속..
오픈소스 컨테이너 모니터링 툴 Prometheus(1) : 이론편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대표적인 컨테이너 모니터링 툴인 prometheus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prometheus에 대해 접해보셨을 테고 실질적으로 이를 이용해 인프라에 적용해보셨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는 prometheus의 공식 문서를 기준으로 이를 작성하고 실제로 설치 및 실험을 통해 어떤 범위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한지 궁금했던 부분에 대해 기록해 놓았던 것을 공유드리는 포스팅으로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Prometheus는 2012년에 SoundCloud에 의해 개발된 오픈소스 시스템 모니터링 프로젝트입니다. 그리고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 20..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 Zabbix(1) : 이론편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마 많은 분들께서 서버 관리, 인프라 관리, 클라우드 등에서 사용하고 계시면서도 잘 알려져 있는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인 Zabbix 이론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저 또한 장애 관리나 고가용성에 대한 연구들을 진행하면서 Zabbix를 많이 사용했었습니다. 그 이유는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었고, 제 나름대로의 주관은 웹 UI 즉 인터페이스가 편리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을 것 같네요. 그래도 Template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해서 모니터링 범위도 넓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 Zabbix 이론 편에서 Zabbix 기본, 모니터링 범위, 유즈..